한국여성단체연합이 3.8세계여성의 날을 기념해서 발표하는 올해의 여성운동상 수상자


1. 수상자 소개

(1) 성명 : 윤정옥 (尹貞玉, 만 76세)

(2) 주소 : 서울시 서대문구 대신동 131

(3) 연락처 : 365-4016(정대협 사무실) / 393-1215(자택)

(4) 주요 이력
1949 이화여대 영문과 졸업
1953∼55 미국 스캐릿 대학원 졸업
1964∼67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대학원 졸업
1980 영국 엑세터 대학교 연구
1955∼58 기독교대한감리회 총리원 교육국 시무
1958∼91 이화여대 영문과 교수
1991 이화여대 은퇴
1990∼현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
2000 '이천년 일본군 성노예전범 국제법정' 한국위원회 위원장

(5) 상훈
1992 여성동아 대상 '여성의 권익 신장'
1994 대통령상 '여성복지 증진'
1994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상(이효재, 윤정옥 공동)

(6) 저술
논문 Charles Dickens의 Great Expectations - Pip의 성장과정을 중심으로 外
전기 산초의 씨름 - 윤성렬 목사 일대기


2. 선정근거

윤정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 공동대표는 이화여대 재직 시절인 90년 11월에 정대협을 결성하고, 91년 대학은퇴와 동시에 정대협 일을 맡아 10여년동안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한 가운데 서 있다.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과 동년배로서, 자신의 문제일 수도 있었던 정신대 문제를 끈질긴 집념으로 조사·연구하고 사회이슈화시켜 한평생을 정신대문제 해결에 앞장서 온 윤정옥은, 평범한 학자에서 운동가로 변신한 후 '오히려 이 문제로 인해 60이 넘어서 인생을 배웠다'는 겸손을 가르쳐주는 사람이다.
'수치스럽다'는 이유로 우리 딸들의 인권을 유린하고도 침묵을 강요해온 역사 다시 쓰기를 위해 76년의 세월을 다 바쳐왔다. 지난 2000년에는 국제법정 실행위원으로 활약하면서 일본 전 국왕에게 유죄판결을 내리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76세의 노구에도 불구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세계 각국을 누비며 '정신대 할머니들의 인권회복운동'을 평생의 소망이며 목표로 살고 있다.

(1) 수십년간 숨겨져있던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역사적 진실로 드러내고,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을 위해 이를 사회운동으로 발전시켰다.

70년대 중반 일본인이 쓴 위안부에 관한 논문을 통해 어린 시절 소문으로만 듣던 위안부 문제에 본격적인 관심을 갖고, 79년부터는 일본, 태국, 미얀마 등지를 답사하면서 정신대에 끌려갔던 여성들을 직접 만나고, 정신대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로부터 10여년 후인 88년의 한 국제세미나에서 그간의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정신대 문제는 처음 사회이슈화되었다. 이 자리에 모인 여성들의 분노와 결의가 90년 11월 36개의 여성단체들로 구성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를 탄생시켰다.
수치스러운 역사로 간주하여 수십년간 묻어두었던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세상에 폭로하고, 이를 사회운동화하여 위안부 문제를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적 이슈로 만들어 전쟁중 강제로 성적 학대를 당해야만 했던 전세계 모든 여성들의 인권을 되찾기 위한 활동에 평생을 바쳤다.

(2) 한평생을 학자적 양심과 끈질긴 집념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에 앞장서왔다.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과 동년배로서, 자신의 문제일 수도 있었던 정신대 문제는 한평생을 통해 자신이 풀어야 할 숙제와도 같은 것이었다. 또한 과거사를 쉽게 잊는 사람들의 무관심과 여성의 인권문제를 수치스런 역사로 묻어두려는 사람들의 비겁함은 윤정옥 개인의 숙제를 우리 모두가 책임져야 할 역사적 과제로 남기게 한 이유이다.
어린 시절 들려오던 해괴한 풍문들을 역사적 진실로 밝히기까지 반평생을 학자적 양심과 끈질긴 집념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에 앞장서왔다.

(3) '일본군 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을 성공으로 이끌어, 한·일 양국간 여성인권문제에 대한 역사 바로세우기에 공헌하였다.

91년 김학순 할머니가 자신의 과거를 처음으로 공개하고 일본을 고발한 지 10년만인 2000년에 '국제법정' 실행위원을 맡아 국제 여권활동가들이 만류에도 불구하고, 국제법정의 형식으로 법정을 여는 일에서부터 참여를 꺼려하던 판·검사들의 설득, 남북공동기소장 제출, 일본 전 국왕 유죄판결에 이르기까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일 양국 정부의 역사 바로세우기에 공헌하였다.